문제
14425번: 문자열 집합
첫째 줄에 문자열의 개수 N과 M (1 ≤ N ≤ 10,000, 1 ≤ M ≤ 1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집합 S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들이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검사해야 하는 문자열들이 주어
www.acmicpc.net
코드
My answer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cnt = 0
S = {input().strip() for _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input().strip() in S:cnt+=1
print(cnt)
풀이
리스트로 구현을 하면 시간초과가 뜨는데 집합으로 구현을 하면 시간초과가 안난다. 문제에서 집합s에는 같은 문자열이 입력되지 않는다고 왜 집합으로 구현을 해야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는데 검색을 해보고알았다. 같은함수라도 자료형에 따라 시간복잡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우선 in함수를 쓸 때 리스트는 원소들을 하나하나 순회하기 때문에 O(n)의 시간이 걸리는데 집합은 해쉬라는 것을 이용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최악은 O(N)이지만 일반적으로는 O(1)이라고 한다...이 외에도 리스트.튜플이 in 시간복잡도가 동일하고, 집합과 딕셔너리가 O(1)이라고 한다.
[Python] 파이썬 in 연산 시간복잡도
파이썬에는 in 연산자가 있다. 보통 리스트, 튜플, 집합, 딕셔너리 같이 연속적인 자료구조에 속한 멤버를 확인하거나 순회할 때 사용한다. 그렇다면 in 연산자의 시간복잡도는 어떻게 될까? List l
otugi.tistory.com
728x90
반응형
'코딩테스트 > 백준[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2776- 암기왕 (0) | 2022.01.23 |
---|---|
[Python] 백준 #10546- 배부른 마라토너 (0) | 2022.01.23 |
[Python] 백준 #1620-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0) | 2022.01.21 |
[Python] 백준 #2346- 풍선 터뜨리기 (0) | 2022.01.21 |
[Python] 백준 #1935- 후위 표기식2 (0)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