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시간에 따른 잠수교 수위 예측
·
프로젝트/수위 예측
수위예측의 연장 프로젝트인 선행시간에 따른 잠수교 수위 예측의 경우 포트폴리오 겸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노션에 정리하였습니다. 잠수교 수위 예측 | Built with Notion 주제 quill-celery-3b2.notion.site
한강 수위 예측 - 모델링 및 평가
·
프로젝트/수위 예측
드디어 마지막 모델링 과정이다. 사실 모델링 부분은 코드는 열심히 짰지만 뭐 보여줄 것이 없긴 하다만, 열심히 작성해 보겠다. 1. 베이스라인 모델 우선 모델 자체는 딥러닝 모델이 아닌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고자 했다. 이전에 제대로 된 튜닝 없이 LSTM을 돌려보기는 했었는데, 아무래도 이런 정형 데이터 특성상 트리 기반의 모델이 더 성능이 잘 나왔었다. 어떤 모델을 쓸지 고민을 하다가 그냥 젤 좋은 모델을 써야지 하는 생각에 AUTOML을 이용하여 모델을 선정하고자 했다. 1-1. input 데이터 확인 우선 automl 모델 선정 및 input 데이터를 만들기 전에 우선 데이터부터 다시 살펴보자. 이제 제일 중요한 부분이 나온다!!!!!!!!! 바로 target을 shift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
한강 수위 예측 - 데이터 EDA, 전처리, Feature engineering
·
프로젝트/수위 예측
이번 글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EDA와 전처리 그리고 Feature engineering을 진행해 볼 것이다. 1. EDA 우선 EDA의 시작이라고 하는 데이터 정보부터 확인해 봤다.(따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코드를 사용했다면 나와 동일한 상태일 것이기 때문에 내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나는 잠수교, 청담대교, 한강대교, 행주대교 외에 광진교, 팔당대교, 중랑교, 전류리의 수위를 수집하였는데 수집한 이유는 이후에 나온다. 1-1. 데이터 확인 column과 info를 찍어보면 다음과 같다. wl=수위, fw=유량, rf=강수량, swl=팔당댐수위, inf=팔당댐유입량, sfw=팔당댐저수량, ecpc=팔당댐공용량, tototf=팔당댐방출량을 나타낸다. 총 25개의 칼럼을 가지고 있으며, ..
한강 수위 예측 - 프로젝트 소개 및 데이터 수집
·
프로젝트/수위 예측
우선 저번 글에 간단하게 말했지만 이 프로젝트(대회)의 목적과 배경부터 다시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1. 대회 소개 우선 데이콘에서 공개한 대회의 배경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배경]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해지고 있음. 팔당댐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관리, 운영 중인 댐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홍수 방어에 있어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고 있음. 팔당댐의 홍수 안전운영에 따른 서울시내 한강 주요 지점(잠수교 등)의 수위를 예측함으로써, 홍수재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목표] 팔당댐 방류에 따른 서울시내 한강 주요 다리 수위예측 출처:http..
한강 수위 예측 - 프로젝트 시작
·
프로젝트/수위 예측
본 프로젝트는 데이콘의 "팔당댐 홍수 안전운영에 따른 수위예측 AI 경진대회" 를 참여하면서 시작하여, 개인적인 프로젝트인 "선행시간에 따른 잠수교 수위 예측" 까지 이어간 프로젝트의 과정이다. 팔당댐 홍수 안전운영에 따른 한강 수위예측 AI 경진대회 - DACON 분석시각화 대회 코드 공유 게시물은 내용 확인 후 좋아요(투표) 가능합니다. dacon.io 두 프로젝트 모두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모델링 과정들이 동일하기 때문에 우선은 대회 프로젝트에 대한 글을 작성하면서 다 끝나면 나중에 선행시간에 따른 분석을 이어가도록 할 것이다. 큰 틀을 말해보자면, 우선 첫번째 프로젝트 팔당댐 홍수 안전운영에 따른 수위예측 AI 경진대회는 한강에 있는 한강대교, 잠수교, 행주대교, 청담대교의 수위(정확히는..
데이콘-2023 전력사용량 예측 AI 경진대회
·
프로젝트/전력사용량 예측
내 다른 프로젝트인 수위 예측 프로젝트를 1년동안 질질 끌면서 온갖 다양한 걸 써봐서 머신러닝에 대해선 뭐 대충 잘 안다고 생각했었는데, 강사님이랑 같이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하게나마 해보면서 부족한 걸 배웠던 것 같다. !!! 이번 실습은 단순 실습용어서 다양한 EDA 및 feature engineering을 진행하지는 않고 강의에서 배운 optuna와 kfold를 사용한 baseline 코드 만들기 실습정도로 봐주면 될 것 같다. (사실상 구어체로 작성하듯이 해서 회고와 가깝다 내 느낀점) 데이콘 전력사용량 예측 AI 경진대회 오늘은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실습한 데이콘의 2023 전력사용량 예측 AI 경진대회에 대해서 간단하게 작성해보고자 한다. 이 대회는 재작년에도 열렸던 것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