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작년에 학교 캡스톤 프로젝트로 수행했던 산불 발생 확률 예측 프로젝트에 대해서 작성을 시작해보려 한다.
우선 이름에서 확 와닿듯이, 산불 발생 확률을 예측하는 프로젝트였다.
이미 끝난 프로젝트라서 살짝 가물가물하지만 조금씩 기억해내면서 적어보겠다.
사실 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런 것들은 다 빼고 마지막 최종 결과에 대해서만 작성해보도록하겠다. 지나고나니 후회? 아니 별로 만족하지 못한? 프로젝트지만 시작부터 끝까지 기획해서 한 프로젝트이고 그만 큼 시간도 알차게 쓰면서 했기 때문에 작성해보고자 한다!!
코드는 전부 다시한번 쭉 돌려보면서 테스트해보고 코드들도 좀 리팩토링해서 정리하고, 모듈화도 시킨다음 공개할 예정이다 !!
우선 Day 0이기 때문에 간략한 프로젝트 절차를 설명해보겠다.
1. 산불 발생, 무작위 산불 발생x 데이터 수집
2. 기상 데이터 수집 -> 크롤링+보간
3. 우리나라의 지형, 인적 데이터 수집(geopandas,qgis)
4. 기상데이터는 tabular 형태로, 지형과 인적데이터는 이미지형태로 crop
5. 산불이 발생한 위치를 1, 발생하지 않은 위치는 0으로 각 지점마다 멀티모달 모델을 이용하여 이진분류
6. softmax확률 값을 해당 지역의 산불 발생 확률로 정의
728x90
반응형
'프로젝트 > 산불 발생 예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프로젝트 마무리 (0) | 2023.11.21 |
---|---|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모델링 결과 (0) | 2023.11.21 |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모델링 준비 (0) | 2023.11.21 |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지형,인적 데이터 수집 (0) | 2023.11.21 |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인적 데이터 수집 (0)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