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를 사용하면 편집기로 보통 vi
,vim
,nano
중 하나를 사용할 것이다.
nano는 보통 기본으로 안깔려있고 설치해야되고 에전부터 개발을 하던 사람은 vi
나 vim
을 사용하겠지만 입문한지 별로 안된 나에게는 익숙해지지가 않았다.
nano
는 그냥 메모장이랑 다를 것도 없고 매우 편해서 사용하게되었다.
단순 문서 편집을 할때는 nano
명령어로 열면되지만 crontab
같은 것들을 편집할 때는 자동으로 기본 편집기인 vi
가 열리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오늘은 nano 설치와 기본편집기를 바꾸는 방법 및 커스터마이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nano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ano
기본 편집기 변경
select-editor
위 명령어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편집기를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나오고 원하는 편집기 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

커스터마이징
추가로 nano 편집기도 단순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
nano ~/.nanorc
nano 설정파일을 열고 아래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추가해주면 된다.
# 줄 번호 표시
set linenumbers
# 자동 줄 바꿈 (80자 기준)
set softwrap
# 탭 대신 공백(스페이스) 사용
set tabstospaces
# 탭 크기를 4칸으로 설정
set tabsize 4
# 마우스로 클릭한 위치로 커서 이동
#set mouse
# 커서위치를 상태바에 표시
set constantshow
# 자동 들여쓰기 활성화
set autoindent
# 검색 시 대소문자 구분 안 함
set casesensitive off
# 기본 구문 강조 적용
include /usr/share/nano/*.nanorc
# 특정언어 문법 강조
include /usr/share/nano/python.nanorc
include /usr/share/nano/bash.nanorc
include /usr/share/nano/json.nanorc
# 색상변경(titlecolor,keycolor,statuscolor,funcrioncolor,numbercolor)
set numbercolor gray
이것외에도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man nanorc
728x90
728x90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Nvidia 드라이버 설치 문제 해결 (0) | 2025.03.19 |
---|---|
Ubuntu 22.04 vscode 한글 오류 (0) | 2025.03.19 |
sudo 명령어 timeout, nopasswd (0) | 2025.02.07 |
리눅스 AppImage 실행 및 아이콘 추가 (0) | 2025.02.07 |
terminals database is inaccessible (0) | 202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