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수위 예측 - 데이터 EDA, 전처리, Feature engineering
·
프로젝트/수위 예측
이번 글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단한 EDA와 전처리 그리고 Feature engineering을 진행해 볼 것이다. 1. EDA 우선 EDA의 시작이라고 하는 데이터 정보부터 확인해 봤다.(따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코드를 사용했다면 나와 동일한 상태일 것이기 때문에 내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나는 잠수교, 청담대교, 한강대교, 행주대교 외에 광진교, 팔당대교, 중랑교, 전류리의 수위를 수집하였는데 수집한 이유는 이후에 나온다. 1-1. 데이터 확인 column과 info를 찍어보면 다음과 같다. wl=수위, fw=유량, rf=강수량, swl=팔당댐수위, inf=팔당댐유입량, sfw=팔당댐저수량, ecpc=팔당댐공용량, tototf=팔당댐방출량을 나타낸다. 총 25개의 칼럼을 가지고 있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