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발생 확률 예측 - 프로젝트 마무리
·
프로젝트/산불 발생 예측
뭐 글들을 보면 알겠지만, 두서없이 그냥 막무가내로 적은 것 같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시작~끝을 글로 정리하려니 너무 어려웠다. 누군가 볼 것 같지도 않지만..내가 나중에 보고 기억할 정도로만 적어봤다. 진짜 최종최종최종 전체 요약이다. 혹시나 관심 있다면 이 요약+ppt+코드보면 대강 이해 갈 것이다. [산불 발생 관련 데이터 처리] 2011~2021년 강원도의 산불 발생 날짜, 시각, 발생위치를 가져옴.(산림청 산불피해대장) -> 산불 발생 데이터(총 1053개) - 도로명 주소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 - 산불 발생 데이터(target=1)인 데이터의 분포(발생위치, 발생 날짜, 계절)를 고려하여 임의의 산불 발생 x 데이터(target=0)을 생성-> 총 1140 개 - 산불 발생 데이터와 산불 발생..
산불 발생 확률 예측 - 프로젝트 시작
·
프로젝트/산불 발생 예측
이제 작년에 학교 캡스톤 프로젝트로 수행했던 산불 발생 확률 예측 프로젝트에 대해서 작성을 시작해보려 한다. 우선 이름에서 확 와닿듯이, 산불 발생 확률을 예측하는 프로젝트였다. 이미 끝난 프로젝트라서 살짝 가물가물하지만 조금씩 기억해내면서 적어보겠다. 사실 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런 것들은 다 빼고 마지막 최종 결과에 대해서만 작성해보도록하겠다. 지나고나니 후회? 아니 별로 만족하지 못한? 프로젝트지만 시작부터 끝까지 기획해서 한 프로젝트이고 그만 큼 시간도 알차게 쓰면서 했기 때문에 작성해보고자 한다!! 코드는 전부 다시한번 쭉 돌려보면서 테스트해보고 코드들도 좀 리팩토링해서 정리하고, 모듈화도 시킨다음 공개할 예정이다 !! 우선 Day 0이기 때문에 간략한 프로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