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작년에 학교 캡스톤 프로젝트로 수행했던 산불 발생 확률 예측 프로젝트에 대해서 작성을 시작해보려 한다. 우선 이름에서 확 와닿듯이, 산불 발생 확률을 예측하는 프로젝트였다. 이미 끝난 프로젝트라서 살짝 가물가물하지만 조금씩 기억해내면서 적어보겠다. 사실 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런 것들은 다 빼고 마지막 최종 결과에 대해서만 작성해보도록하겠다. 지나고나니 후회? 아니 별로 만족하지 못한? 프로젝트지만 시작부터 끝까지 기획해서 한 프로젝트이고 그만 큼 시간도 알차게 쓰면서 했기 때문에 작성해보고자 한다!! 코드는 전부 다시한번 쭉 돌려보면서 테스트해보고 코드들도 좀 리팩토링해서 정리하고, 모듈화도 시킨다음 공개할 예정이다 !! 우선 Day 0이기 때문에 간략한 프로젝..
오늘은 git을 이용하면서 협업에 자주 사용하게 될 pull request 등과 협업에 필요한 기본 세팅법에 대하여 내가 이해한것만 간단하게 안까먹을만큼만 적어보겠다. 나는 우선 초기 세팅부터 진행하는 것을 작성할텐데, 뒤쪽 pull-request 부분만 봐도 상관 없다!!(틀린 거는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organization 생성우선 github에서 organization을 만든다. 이후 팀원들을 초대해주면 된다.2. 기본 세팅우선 organization을 만들었으면, 기본 세팅을 진행해줘야 한다.repository를 만들고, 라이센스나 git ignore 등을 세팅해주고 필요에 따라 issue 템플릿이나 issue등을 생성해준다.나는 라이센스는 깃허브에서 repo를 생성할 때..
오늘은 자주 쓰는 git 명령어들을 작성해보았다. -> 로컬=origin, 원격저장소 branch=maingit 저장소 생성 `git init`git 상태 확인 `git status`원격저장소를 로컬로 복제 `git clone {link}`staging area에 파일 추가 `git add {file}` / `git add .`git에 commit `git commit -m "{message}"`원격 저장소에 로컬 변경사항 업로드 `git push {origin} {main}`원격 저장소 변경사항 로컬로 다운로드 `git pull`원격 저장소 변경사항을 로컬로 가져옴 `git fetch {alias}`github 주소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url}`브랜치 생성 `git b..
오늘은 이전 시간에 설명한 conventional commit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git commitizen을 사용하는 방법과 이러한 git commitizen에 이모지를 붙여서 표시할 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겠다. Git commitizen우선 git commitizen이란, commit 할 때 지정된 템플릿을 표시해 주면서, conventional commit에 해당하는 것들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완성시켜 주는 패키지이다.npm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우선 node.js가 pc에 설치되어있어야한다. 이건 그냥 node.js검색해서 설치하면 되니 간단하다.이후 bash에서 아래 코드를 수행해주면 우선 commitizen이 설치가 된다.npm install -g commitizennpm instal..
오늘은 티스토리 인라인 코드블럭을 작성하는 법을 간단하게 가져왔다. 인라인 코드 블럭이란, 노션 등에서 볼 수 있는 지금 이 오른쪽에 있는 `인라인코드블럭` 이런 것이다. 단순하게 글씨에 색을 입히거나, 볼드체로 쓰는게 아니라 코드블럭 처럼 씌워서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항상 글을 작성하면서 간단한 코드에도 코드블럭을 쓰긴싫어서 볼드체로 썼었는데 이제 간단하게 인라인으로 작성할 수 있다. 원래 기존에도 티스토리에서 인라인 코드블럭을 작성할 수 있는데, 작성하기 위해서는 마크다운 모드로 변경한 후, 강조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앞 뒤에 백틱을 적어줘야 했다. 백틱은 키보드에서 1왼쪽에 있는 ~이랑 있는 키다. 그런데 글을 작성하면서 중간 중간 마크다운 모드로 계속 가는 것도 귀찮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스킨..
우리는 많은 협업과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면서 git을 사용하게 되는데, 물론 우리 팀원끼리 혹은 아는 사람끼리만 쓸 수도 있지만 오픈소스로 공개하면 다양한 사람들이 볼 수 도 있다. 내가 어떤 작업을 했는지를 간단명료하게 남기려고 보통 commit message를 남기는데, 이러한 것도 기본적인 형식이 있다고한다. 명시적으로 정해져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conventional commit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일관되게 올리면 나중에 알아보기도 편하고 모르는 사람이 봐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한번만 습관을 들여놓으면 편하기 때문에 아직 git에 익숙하지 않은 지금 배워보고자 한다. Conventioanl commit의 장점CHANGELOG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커밋의 종류에 따라 의미론적 버전 증..
오늘은 git commit message를 visual studio code에서 쉽게 작성하는 법을 진행해보겠다. 보통 vscode에서 git commit을 할 때 기본적으로 vscode에 있는 git관련 탭에서 진행할 수도 있지만, terminal이나 bash에서 진행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이때 보통 아래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git commit -m "message 내용" git commit 우선 첫번째의 m을 사용하게 되면 내용을 쉽게 내용을 적을수있지만, 작성하다가 수정하려면 취소하고 다시 적거나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나는 두번째 방법을 통해서 vi에 들어가서 i를 눌러 edit mode로 들어간 뒤, commit message를 작성한 후, 제일 아래쪽 라인에 :wq를 입력하여 종..